이시이 다케히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시이 다케히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로서 세이부 라이온스, 닛폰햄 파이터스에서 활약했다. 와세다 실업고등학교, 호세이 대학을 거쳐 1989년 세이부 라이온스에 입단하여 1992년에는 사와무라 에이지상, MVP를 수상하며 리그를 대표하는 투수로 성장했다. 1992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MVP를 수상하며 팀의 우승을 이끌었으며, 1997년 닛폰햄 파이터스로 이적 후 1999년 방출되었다. 이후 대만으로 건너가 선수 겸 코치로 활동하며 2000년에는 다승왕, 최우수 평균자책점, MVP를 석권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하며 롯데 자이언츠 투수 코치, 세이부 라이온스 코치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야구 해설가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선수 명단 - 도마시노 겐지
도마시노 겐지는 1988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하여 1989년 신인왕을 수상하고 빠른 발과 수비력을 갖춘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현재 야구 해설가이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선수 명단 - 후루타 아쓰야
후루타 아쓰야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감독, 해설가 및 방송인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주전 포수로서 뛰어난 타격과 수비 능력으로 MVP를 수상하고 도루 저지율 신기록을 세웠으며, 선수회 회장으로서 파업을 주도하여 선수 권익 신장에 기여했고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역임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도마시노 겐지
도마시노 겐지는 1988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하여 1989년 신인왕을 수상하고 빠른 발과 수비력을 갖춘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현재 야구 해설가이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후루타 아쓰야
후루타 아쓰야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감독, 해설가 및 방송인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주전 포수로서 뛰어난 타격과 수비 능력으로 MVP를 수상하고 도루 저지율 신기록을 세웠으며, 선수회 회장으로서 파업을 주도하여 선수 권익 신장에 기여했고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역임했다. - 사와무라 에이지상 수상자 - 다나카 마사히로
다나카 마사히로는 '마군'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일본의 우완 투수로, 라쿠텐 시절 압도적인 기량과 메이저리그 활약, 그리고 요미우리 자이언츠 입단까지 일본과 미국 프로야구에서 큰 족적을 남겼으며, 뛰어난 제구력과 다양한 변화구를 바탕으로 수많은 타이틀과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 사와무라 에이지상 수상자 -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헤이세이의 괴물'이라 불리며 고시엔에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NPB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며 WBC MVP를 두 차례 수상했고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이시이 다케히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시이 다케히로 |
원어 이름 | 石井丈裕 (いしい たけひろ) |
출생일 | 1964년 10월 25일 |
출생지 | 도쿄도 오타구 |
신장 | 185cm |
체중 | 90kg |
포지션 | 투수 / 코치 |
투구 | 우투 |
타석 | 우타 |
드래프트 | 1988년 드래프트 2위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 와세다 실업학교 고등부 호세이 대학 프린스 호텔 |
프로 | 세이부 라이온스 (1989–1997) 닛폰햄 파이터스 (1998–1999) 타이베이 성바오 타이양/타이베이 청타이 타이양 (2000–2001) |
첫 출장 (NPB) | 1989년 4월 13일 |
마지막 출장 (NPB) | 1999년 10월 2일 |
첫 출장 (TML) | 2000년 |
마지막 출장 (TML) | 2001년 |
코치 경력 | |
코치 | 타이베이 성바오 타이양/타이베이 청타이 타이양 (2002) 롯데 자이언츠 (2003) 세이부 라이온스/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04–2009, 2011, 2014) |
수상 경력 | |
주요 수상 | 퍼시픽 리그 MVP (1992) 에이지 사와무라상 (1992) 일본 시리즈 MVP (1992) |
NPB 통산 기록 | |
승-패 | 68승 52패 |
평균 자책점 | 3.31 |
탈삼진 | 755 |
국가대표 경력 | |
올림픽 | 1988년 서울 올림픽 야구 은메달 |
2. 프로 입단 전
이시이는 와세다 실업고등학교와 호세이 대학을 졸업했다.
1988년 하계 올림픽과 1988년 야구 월드컵에서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활약했다. 1988년 야구 월드컵에서는 27⅓이닝 동안 32탈삼진을 기록하며 앤디 베네스, 벤 맥도날드, 찰스 네기, 짐 애보트, 노모 히데오, 올란도 에르난데스 등을 제치고 투수 부문 1위에 올랐다. 3승 무패 1세이브, 평균자책점 0.99를 기록했고, 단 2개의 볼넷과 15개의 안타만을 허용했다. 짐 애보트와 함께 토너먼트 올스타 투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노모 히데오가 8회에 흔들린 후 준결승전을 구원하려 했지만, 쿠바에게 패하며 일본을 탈락시키는 경기에서 단타, 3루타, 보크를 허용하며 아웃 카운트를 하나도 잡지 못했다.[47]
이시이는 고교 시절과 대학 시절, 사회인 야구 시절의 자세한 내용이 '유소년 시절' 하위 섹션에 상세히 서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요약한다.
- 와세다 실업고등학교 시절: 아라키 다이스케의 백업 투수로, 3학년 여름 제64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준준결승에 등판했으나 미즈노 가쓰히토에게 만루 홈런을 맞고 패했다.
- 호세이 대학 시절: 3학년 가을에 도쿄 6대학 리그전에 첫 등판했고, 4학년 때 3승을 기록하며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다. 하를럼 베이스볼 위크 일본 대표로도 발탁되었다.
- 사회인 야구 시절 (프린스 호텔): 최고 구속 149km/h를 기록하고, 서울 올림픽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올림픽에 앞선 IBAF 월드컵에서 32탈삼진을 기록했다.
2. 1. 유소년 시절
도쿄도 오타구에서 자영업을 하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위로 누나 둘이 있는 3남매 중 막내였다.[53] 하네다 중학교 시절에는 야구부 고문이 연습 지도를 해주지 않아 야구에 대한 의욕을 잃고 야구부를 탈퇴했다.[41] 이후 주위의 권유로 ‘오타 샤크보이즈’에서 경식야구를 시작했고,[41] 중학교 1년 선배로는 야스다 다다오가 있다.와세다 실업고등학교 시절에는 빠른 공을 던졌지만 커브도 제대로 던지지 못하고 자주 부상을 당해[42][43] 동기인 아라키 다이스케의 백업 투수로 뛰어야 했다. 3학년 여름에 열린 제64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준준결승전에서 이케다 고등학교를 상대로 등판했지만 미즈노 가쓰히토에게 만루 홈런을 맞고 패했다.
고교 졸업 후 호세이 대학에 진학하여, 한 학년 위인 니시카와 요시아키나 동기인 이노마타 다카시가 팀의 에이스를 맡고 있었기 때문에 3학년 가을에야 도쿄 6대학 리그전에 첫 등판 기회를 얻었다.[51] 4학년이 되면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해 1986년 춘계 리그전에서는 3승을 기록하며 베스트 나인에 선정됐다. 그 해 하를럼 베이스볼 위크의 일본 대표로 발탁되어, 힘으로 승부할 수 있는 국제 경기의 매력에 빠져들었다고 한다.[44] 도쿄 6대학 리그전 통산 성적은 8승 4패였다.
대학 졸업 후에는 사회인 야구팀인 프린스 호텔에 입단해 최고 구속 149km/h를 기록하는 등[45] 뚜렷한 성과를 냈다. 1988년에는 제59회 도시 대항 야구 대회 도쿄 도 예선 1차전에서 타구에 맞아 오른쪽 눈의 시력이 1.2에서 0.1까지 떨어지는 부상을 당했지만,[46] 서울 올림픽 야구 일본 국가대표 선수로 발탁됐다.
올림픽에 앞서 열린 IBAF 월드컵에서 32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끈기있는 투구를 보여주었는데,[47] 이 대회에서 와타나베 도미오가 팔꿈치 부상을 당한 것이 영향을 주어, 서울 올림픽에서는 시오자키 데쓰야, 노모 히데오와 함께 대표팀 투수 로테이션의 한 축을 담당했다. 예선 리그 첫 경기인 푸에르토리코전에서 완투승을 거두었고, 중화민국전에서는 동점 상황에서 9회초부터 5이닝 동안 4안타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팀 승리를 이끌었다.[48] 준결승전인 대한민국전과 결승전인 미국전에도 선발 등판했지만, 결승전에서 4회에 4번 타자 티노 마르티네스에게 2점 홈런을 맞고 패전 투수가 됐다.[49] 대회 통산 23.2이닝을 던져 팀내 1위를 기록했고, 12탈삼진, 평균 자책점 1.14의 성적을 남겼다.[47]
2. 2. 와세다 실업고등학교 시절
와세다 실업고등학교 시절에는 구속은 빨랐지만 커브도 제대로 던지지 못하고 부상도 잦아서[42][43] 동기인 아라키 다이스케의 대기 투수로 뛰어야 했다. 3학년 여름에 열린 제64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준준결승전에서 이케다 고등학교를 상대로 등판했지만 미즈노 가쓰히토에게 만루 홈런을 맞고 패했다.2. 3. 호세이 대학 시절
호세이 대학에 진학하여 한 학년 위인 니시카와 요시아키나 동기인 이노마타 다카시가 팀의 에이스를 맡았기에 3학년 가을에야 도쿄 6대학 리그전에 첫 등판했다.[51] 4학년이 되면서 두각을 나타내 1986년 춘계 리그전에서 3승을 거두며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다. 그 해 하를럼 베이스볼 위크의 일본 대표로 발탁되어, 힘으로 승부하는 국제 경기의 매력에 빠졌다고 한다.[44] 도쿄 6대학 리그전 통산 성적은 8승 4패였다.2. 4. 사회인 야구 시절 (프린스 호텔)
대학 졸업 후 사회인 야구팀인 프린스 호텔에 입단하여 최고 구속 149km/h를 기록하는 등[45] 뚜렷한 성과를 냈다. 1988년에는 제59회 도시 대항 야구 대회 도쿄 도 예선 1차전에서 타구를 맞는 바람에 1.2였던 오른쪽 눈의 시력이 한때 0.1까지 심하게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46] 그 해 서울 올림픽 야구 일본 국가대표 선수로 발탁됐다.올림픽에 앞서 열린 IBAF 월드컵에서 끈기 있는 투구로 합계 32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는데,[47] 이 대회에서 와타나베 도미오가 팔꿈치 부상을 당한 것이 작용해서 서울 올림픽에서는 시오자키 데쓰야나 노모 히데오와 함께 로테이션의 한 축을 담당했다. 예선 리그 첫 경기인 푸에르토리코전에서 완투 승리를 거두는가 하면 이어진 중화민국전에서는 동점인 상태에서 맞이한 9회초부터 5이닝을 4안타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48] 준결승전인 대한민국전과 결승전인 미국전에도 선발 등판했지만 결승전에서 4회에 4번 타자 티노 마르티네스에게 2점 홈런을 맞고 패전 투수가 됐다.[49] 대회 통산 23.2이닝을 던져 팀내 1위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12탈삼진, 평균 자책점 1.14의 성적을 남겼다.[47]
아직 사회에 충분히 공헌하지 못했다면서 그 해의 드래프트 회의를 앞두고 프로 입단을 거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세이부 라이온스가 2순위로 지명을 강행했다. 소속된 프린스 호텔이 세이부 계열이라는 이유에서 일부에선 밀약설도 나돌았다.[50] 그러나 그 해에는 3·4번인 오가와 히로후미와 나카지마 데루시도 드래프트에 지명됐기 때문에 프린스 호텔의 이시야마 겐이치 감독이 이시이의 프로 입단에 난색을 표했다.[50] 그 후 세이부의 스카우트인 부스지마 쇼이치가 나서서 이시이의 가족들을 설득한 끝에 최종적으로 입단이 결정됐다. 1순위로 지명된 와타나베 도미오와 동일하게 계약금 7000만엔, 연봉 840만엔(모두 추정치)이라는 파격적인 조건이었다.[50]
3. 프로 야구 선수 시절
닛폰햄 파이터스로 이적한 첫 해인 1998년에는 2승 5패, 평균자책점 6.22를 기록했고, 이듬해인 1999년 시즌 종료 후 닛폰햄 구단으로부터 방출 통보를 받았다. 2년 간 1군과 2군에서 뚜렷한 결과를 남기지 못했다.[64]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한신 타이거스의 입단 테스트를 받았으나 모두 불합격했다. 다른 팀의 테스트와 일정이 겹쳐져 테스트를 피한 지바 롯데 마린스는 베테랑 선수(고노 히로후미, 하타 신지, 모토니시 아쓰히로)들을 대량 채용했다. 《인간 해석 도큐멘트 ZONE》에서는 닛폰햄으로부터 방출 통보를 받고 타이완으로 건너갈 때까지의 과정이 방송되었다. 전성기 때의 이미지와 현재의 차이, 테스트를 앞두고 부상으로 체력 조절에 실패하여 컨디션 조절을 도와주던 선수에게 분을 삭였던 일 등 힘들었던 시기가 선명하게 그려졌다. 이 방송은 반향을 일으켜 이후 TBS의 프로 야구 오프 시즌 간판 프로그램에서 전력 외 선수에 관한 특집을 다루게 되었다. 이시이는 현역 생활을 계속하고 싶다는 입장을 밝히며 예전 팀 동료인 와타나베 히사노부, 궈타이위안 등과 의논한 끝에 타이완 대연맹 소속 팀인 타이베이 타이양에 선수 겸임 코치로 입단했다.[64]
스리쿼터 투구폼에서 150 km/h에 가까운 속구를 던졌고, 몸체가 흔들리지 않아 사회인 시절부터 제구력이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45] 조용한 투구폼은 짐 파머와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74] 공을 오래 잡고 있어서 제구력이 좋다는 평가도 있었다. 1992년 퍼시픽 리그에서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운 투수 중 가장 적은 28개의 볼넷을 기록했고,[55] 이듬해인 1993년에는 투구 이닝이 191과 2/3이닝으로 증가했음에도 볼넷 개수는 늘어나지 않았다. 컨디션이 좋을 때는 스트라이크 존에서 코스를 나눠 던지는 것도 가능했다고 한다.[75]
아마추어 시절에는 속구와 바로 옆으로 휘는 슬라이더를 주무기로 사용했고,[74] 세이부에서 고야마 마사아키 코치로부터 팜볼을 배워 투구의 폭을 크게 넓혔다. 팜볼은 약손가락, 중지, 집게손가락의 제2 관절 아래에서 공을 건드리면서 집게손가락 하나로 공을 잡고 새끼손가락을 살짝 얹는 듯이 쥐고 던지는 구종이다.[76] 주로 한가운데 조금 낮은 코스로 공을 던졌지만, 손목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팔꿈치나 어깨에 부담이 생겨 팔꿈치 부상으로 이어졌다고 한다.[76] 1992년 당시 팜볼의 구속은 120 km/h 정도였으며, 구속을 더 느리게 하여 완급 조절을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고 한다.[54]
타격은 중학교 시절에 기초를 익히지 못했고, 고등학교 때는 대기 투수를 맡아 연습 시간이 부족했다. 사회인 야구와 프로 야구에서는 지명타자 제도가 도입되어 거의 초보나 다름없는 수준이었다고 한다.[41] 1992년 일본 시리즈 7차전에서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타석에 들어섰지만, 오카바야시 요이치에게서 적시타를 때려냈다.[77]
3. 1. 세이부 라이온스 시절 (1989년 ~ 1997년)
이시이 다케히로는 1989년부터 1997년까지 세이부 라이온스에서 투수로 활동하며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했다. 특히 1992년에는 15승 3패, 평균자책점 1.94의 뛰어난 성적으로 퍼시픽 리그 최우수 선수에 선정되었고, 사와무라 에이지 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1992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2승 무패, 2완투를 기록하며 19이닝 동안 1자책점, 18탈삼진으로 MVP를 수상, 야쿠르트 스왈로스를 상대로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1993년에는 구도 기미야스와 함께 선발 투수로 활약하며 4차례의 완봉승을 포함해 12승을 기록,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75] 1994년에는 시즌 종반 중간 계투로 전환하여 1승 무패 4세이브, 평균 자책점 1.20으로 월간 MVP에 선정되었고,[57] 팀의 5연패 달성에 공헌했다.[56] 일본 시리즈에서도 구원 투수로 활약하며 4차전에서 승리 투수가 되었다.
1995년에는 4월에 3번의 완투를 포함한 4승, 평균 자책점 0.79로 월간 MVP를 수상하며 좋은 출발을 보였다. 그러나 7월에 왼쪽 장딴지 근육 파열로[59] 올스타전에 결장했고,[60] 부상과 허리 통증으로 2개월간 결장했다.[61] 1996년에는 오른쪽 다리 통증으로 수술을 받아[63]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승리 투수가 되지 못했다. 1997년에는 2년 만에 승리를 거두고 1997년 일본 시리즈에 선발 등판했지만, 시즌 후 니시자키 유키히로와의 트레이드로 나라하라 히로시와 함께 닛폰햄 파이터스로 이적했다.
3. 1. 1. 1989년 ~ 1992년: 신인 시절과 전성기
1989년 프로 1년째, 이시이는 스프링 캠프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며 구로다 마사히로 배터리 코치로부터 "작년 신인왕인 모리야마 료지와 맞먹는 활약이 가능하겠다"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51] 모리 마사아키 감독 역시 이시이에게 개막 로테이션 합류를 기대했다.[51] 야기사와 소로쿠 투수 코치는 이시이가 아마추어 시절에 두 번째 투수였기 때문에 어깨를 혹사당하지 않았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45]시범 경기에서 이시이는 150km/h에 가까운 빠른 공을 앞세워 13⅓이닝 동안 단 1실점만을 기록하며 개막 엔트리에 합류했다.[52] 4월 29일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와의 경기에서 첫 세이브를 올렸지만, 5월 4일 오릭스 브레이브스와의 선발 경기에서는 10피안타 4실점으로 부진했다. 시즌 후반기에는 구원 투수로 뛰며 평균 자책점 4.33을 기록했다. 하지만, 점차 과감함을 잃고 변화구 제구력이 부족하여 단조로운 투구를 한다는 평가를 받았다.[51] 또한, 프린스 호텔 선배인 나카지마 데루시에게 몸에 맞는 볼을 던져 골절시킨 것이 마음에 걸려 몸쪽 공격에 어려움을 겪었다.[53]
1990년, 이시이는 스프링 캠프에서 고야마 마사아키 코치로부터 팜볼을 전수받아 느린 구종을 익히며 투구의 폭을 넓혔다. 5월 12일 다이에전에서는 2회 도중에 강판되었지만, 불펜 투구 내용이 좋아 5일 후인 5월 17일 롯데 오리온스전에 다시 선발로 등판했다. 오미야 다쓰오의 리드 덕분에 첫 완봉승을 거두었고, 5월 25일 경기에서도 완투승을 거두며 선발 로테이션에 안착했다. 7월까지 6승을 올리며 올스타전에도 처음으로 출전했다. 후반기에는 다소 부진하여 8승에 그쳤지만,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1990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세이부가 4연승으로 우승했지만, 투수를 6명밖에 기용하지 않아 출전 기회는 없었다.
1991년에는 오른쪽 등 근육 통증 등으로[53] 7승에 그쳤지만, 팀은 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1991년 일본 시리즈 6차전에서는 궈타이위안의 뒤를 이어 등판해 4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일본 시리즈 첫 승리 투수가 되었다.
1992년 6월 28일 오릭스전에서 안타 하나만 허용하는 '준퍼펙트 게임'급 호투를 펼치는 등[54] 선발 투수의 한 축을 담당했다. 시즌 초반에는 가토리 요시타카, 시오자키와 함께 마무리 투수 역할도 수행하며 시즌 15승 3패 3세이브, 평균 자책점 1.94의 뛰어난 성적으로 팀 우승을 이끌었다. 사와무라 에이지상, MVP 등 많은 타이틀을 석권했고, WHIP은 0.88을 기록했다. 9월에는 4승 무패로 월간 MVP도 처음으로 수상했다. 이 해의 활약 요인으로는 이토 쓰토무의 권유로 시작한 멘탈 트레이닝과[53] 놀런 라이언의 《피칭 바이블》을 읽고 정신적으로 성장한 점이 꼽힌다.[54]
정규 시즌 우승 결정전에서는 7점을 내주며 4⅔이닝 만에 강판당해 야쿠르트 스왈로스와의 1992년 일본 시리즈 1차전 선발에서 제외되었다.[53] 이시이는 볼넷이 적어 일본 시리즈에서 중간 계투로 기용될 수도 있다고 생각했지만, 모리 감독은 7차전까지 가는 접전을 예상하여 이시이를 최종전 선발 투수로 낙점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3차전에 선발 등판한 이시이는 1실점 완투승을 거두었다.[55] 7차전에서는 0대 1로 뒤진 7회 초 오카바야시 요이치에게서 우중간 동점 적시타를 뽑아내 경기를 연장으로 이끌었고, 10이닝 동안 155개의 공을 던져 완투승을 거두며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과 함께 일본 시리즈 MVP를 차지했다.
3. 1. 2. 1993년 ~ 1997년: 부상과 부진
1993년에는 시즌 초반부터 완전히 선발 투수로 기용돼 궈타이위안의 부상과 와타나베 히사노부의 부진이 이어지는 와중에 구도 기미야스와 함께 시즌 내내 안정된 경기를 선보이며[75] 4차례의 완봉을 포함한 12승을 기록하여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일본 시리즈 4차전에서 선발로 나섰지만 1실점을 내주고 4회에서 강판돼 패전 투수가 됐다.1994년에는 6승에 머물렀지만 시즌 종반에는 궈타이위안과 함께 중간 계투로 돌아서 팀의 11연승을 이끌었고,[56] 9월에는 1승 무패 4세이브, 평균자책점 1.20의 호투를 보여 월간 MVP에 선정되었다.[57] 시즌 종반 이시이의 활약에 힘입어 팀은 5연패를 달성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도 구원 투수 역할을 맡았는데 3차전에서는 패전 투수가 됐지만 4차전에서는 9회 도중부터 연장 12회까지 공을 던져 승리 투수가 됐다. 시즌 종료 후에는 3,200만 엔이 증가된 1억 1,000만 엔으로 계약을 갱신하여 연봉 1억 엔을 달성한 선수가 됐다.[58]
1995년 4월에는 3차례의 완투를 포함한 4승을 올렸고 평균 자책점 0.79로 월간 MVP를 수상하는 등 순조로운 시작을 보였다. 그러나 7월 15일 닛폰햄 파이터스와의 경기 전 연습에서 왼쪽 장딴지에 근육 파열을 일으키는 바람에[59] 그 해 올스타전에는 결장했고 이시이를 대신해서 궈타이위안이 출전했다.[60] 이 부상의 영향과 허리 통증 때문에 2개월간 전력에서 제외돼[61] 시즌 성적은 2년 만에 두 자릿수 승리를 거두긴 했으나 규정 투구 이닝에는 도달하지 못했다.[62] 그 해에는 팀도 리그 우승을 놓쳤고 시즌 종료 후 계약 갱신을 거친 연봉은 9,800만 엔(추정)으로 1억 엔 이하로 떨어졌다.[61] 이듬해 1996년 5월 2일의 닛폰햄전에서 강판한 직후 오른쪽 다리에 극심한 통증을 느껴 경과를 관찰하다가 7월 9일에 연골 제거 수술을 받았다.[63] 이로써 1996년 시즌에는 부상 때문에 악재가 겹쳐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단 한 번도 승리 투수가 되지 못했다.
1997년 5월 24일의 닛폰햄전에서 2년 만에 승리를 거둬 야쿠르트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도 선발 등판을 했지만 그 해 시즌 종료 후인 10월 29일에 니시자키 유키히로와의 맞트레이드 된다는 사실을 통보받으면서 나라하라 히로시와 함께 닛폰햄에 이적했다.
3. 2. 닛폰햄 파이터스 시절 (1998년 ~ 1999년)
石井 丈裕일본어는 1998년과 1999년에 닛폰햄 파이터스에서 투수로 활동했다. 1998년에는 2승 5패, 평균 자책점 6.22를 기록했고, 1999년 시즌 종료 후 닛폰햄 구단으로부터 방출 통보를 받았다. 이처럼 2년 간 1군과 2군에서 뚜렷한 결과를 남기지 못했다.[25]3. 3. 대만 리그 시절 (2000년 ~ 2001년)
中華職業棒球聯盟중국어의 타이베이 타이양에 선수 겸 코치로 2000년에 입단하였다.[64]2000년에는 16승 5패, 평균 자책점 1.74의 좋은 성적을 거두며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고, 최다승, 최우수 평균 자책점, MVP 타이틀을 획득했다.[65] 구속은 135 km/h 전후로 전성기에 비해 다소 떨어졌지만, 뛰어난 제구력을 바탕으로 한 투구를 선보였다.[64] 이듬해인 2001년에도 9승을 올렸지만, 그 해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4. 지도자 경력
이시이 다케히로는 선수 은퇴 후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2002년 타이베이 청타이 타이양 감독을 맡았고,[1] 2003년에는 롯데 자이언츠 투수 코치를 역임했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군 투수 코치 및 트레이닝 코치를, 2011년과 2014년에는 1군 투수 코치를 맡았다.[1]
4. 1. 타이베이 청타이 타이양 감독 (2002년)
2002년에 타이베이 청타이 타이양의 감독을 맡았다.[1]4. 2. 롯데 자이언츠 투수 코치 (2003년)
2003년에 롯데 자이언츠 투수 코치를 역임했다.4. 3. 세이부 라이온스 코치 (2004년 ~ 2014년)
세이부 라이온스·사이타마 세이부 2군 투수 코치·트레이닝 코치(2004년 ~ 2009년)를 역임했다.[1] 2011년, 2014년에는 사이타마 세이부 1군 투수 코치를 맡았다.[1]5. 플레이 스타일
이시이 다케히로는 빠른 공을 주무기로 하는 투수였다. 프로 1년 차부터 150km/h에 육박하는 빠른 공을 던지며 주목받았고, 2년 차에는 팜볼을 익혀 투구의 폭을 넓혔다.
1992년에는 15승 3패 3세이브, 평균 자책점 1.94, WHIP 0.88의 뛰어난 성적으로 사와무라 에이지상, MVP 등 각종 타이틀을 석권하며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
통산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소속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4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사구 | 몸에 맞는 볼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 자책점 | WHIP |
---|---|---|---|---|---|---|---|---|---|---|---|---|---|---|---|---|---|---|---|---|---|---|---|---|---|
1989년 | 세이부 | 33 | 3 | 0 | 0 | 0 | 4 | 4 | 3 | -- | .500 | 302 | 68.2 | 85 | 6 | 21 | 4 | 3 | 39 | 0 | 0 | 33 | 33 | 4.33 | 1.54 |
1990년 | 23 | 17 | 6 | 2 | 0 | 8 | 6 | 0 | -- | .571 | 556 | 133.1 | 132 | 14 | 29 | 1 | 0 | 99 | 4 | 0 | 54 | 50 | 3.38 | 1.21 | |
1991년 | 17 | 15 | 6 | 1 | 3 | 7 | 5 | 0 | -- | .583 | 426 | 110.1 | 81 | 15 | 23 | 0 | 0 | 68 | 1 | 1 | 41 | 40 | 3.26 | 0.94 | |
1992년 | 27 | 19 | 8 | 3 | 3 | 15 | 3 | 3 | -- | .833 | 563 | 148.1 | 103 | 9 | 28 | 0 | 1 | 123 | 0 | 0 | 34 | 32 | 1.94 | 0.88 | |
1993년 | 26 | 26 | 14 | 4 | 4 | 12 | 10 | 0 | -- | .545 | 766 | 191.2 | 173 | 25 | 28 | 4 | 3 | 144 | 3 | 0 | 69 | 68 | 3.19 | 1.05 | |
1994년 | 27 | 15 | 4 | 1 | 1 | 6 | 6 | 4 | -- | .500 | 482 | 118.2 | 106 | 10 | 30 | 6 | 2 | 70 | 1 | 0 | 49 | 44 | 3.34 | 1.15 | |
1995년 | 18 | 17 | 5 | 2 | 1 | 10 | 6 | 0 | -- | .625 | 466 | 115.1 | 95 | 9 | 28 | 1 | 0 | 82 | 0 | 0 | 38 | 35 | 2.73 | 1.07 | |
1996년 | 5 | 4 | 0 | 0 | 0 | 0 | 1 | 0 | -- | .000 | 108 | 25.2 | 21 | 4 | 10 | 0 | 1 | 10 | 0 | 0 | 11 | 10 | 3.51 | 1.21 | |
1997년 | 30 | 17 | 0 | 0 | 0 | 4 | 5 | 0 | -- | .444 | 471 | 109.2 | 109 | 8 | 41 | 1 | 2 | 72 | 1 | 0 | 51 | 42 | 3.45 | 1.37 | |
1998년 | 닛폰햄 | 27 | 5 | 0 | 0 | 0 | 2 | 5 | 0 | -- | .286 | 211 | 46.1 | 56 | 9 | 17 | 2 | 3 | 35 | 0 | 2 | 35 | 32 | 6.22 | 1.58 |
1999년 | 20 | 0 | 0 | 0 | 0 | 0 | 1 | 0 | -- | .000 | 115 | 25.0 | 34 | 3 | 7 | 1 | 2 | 13 | 0 | 0 | 19 | 16 | 5.76 | 1.64 | |
통산: 11년 | 253 | 138 | 43 | 13 | 12 | 68 | 52 | 10 | -- | .567 | 4466 | 1093.0 | 995 | 112 | 262 | 20 | 17 | 755 | 10 | 3 | 434 | 402 | 3.31 | 1.15 |
-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5. 1. 투구
프로 1년 차인 1989년 스프링 캠프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고, 시범 경기에서도 150km/h에 가까운 빠른 공을 무기로 호투하며 개막 후 1군에 합류했다.[52] 4월 29일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전에서 첫 세이브를 기록했지만, 선발 등판한 5월 4일 오릭스 브레이브스전에서는 부진했다. 후반기에는 구원 투수를 맡았지만, 대담함 상실과 변화구 제구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51]2년 차인 1990년에는 팜볼을 익혀 투구 폭을 넓혔다. 5월 17일 롯데 오리온스전에서 첫 완봉승을 거두는 등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 7월까지 6승을 올리며 올스타전에도 처음으로 출전했다. 후반기에는 다소 부진했지만,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같은 해 일본 시리즈에서는 출전 기회가 없었다. 이듬해 1991년에는 오른쪽 등근육통 등으로 7승에 그쳤지만,[53] 팀은 연패를 달성했고, 그 해 일본 시리즈 6차전에서 4이닝 무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었다.
1992년에는 ‘준퍼펙트 게임’을 기록하는 등[54] 선발과 견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15승 3패 3세이브, 평균 자책점 1.94로 사와무라 에이지상, MVP를 석권했다. WHIP 0.88, 9월에는 월간 MVP도 수상했다. 멘탈 트레이닝과 놀런 라이언의 《피칭 바이블》을 통해 정신적으로 성장한 것이 약진의 요인으로 꼽힌다.[54] 일본 시리즈 3차전 완투승, 7차전 연장 10회 완투승으로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하며 일본 시리즈 MVP를 차지했다.
1993년에는 선발로 12승을 기록하며 팀 우승에 기여했다. 일본 시리즈 4차전에서는 패전 투수가 되었다.
1994년에는 6승에 그쳤지만, 시즌 종반 중간 계투로 활약하며 팀의 11연승을 이끌었고,[56] 9월에는 월간 MVP에 선정되었다.[57] 팀은 5연패를 달성했고, 일본 시리즈에서도 구원 투수로 활약하며 4차전에서 승리 투수가 되었다. 시즌 후 연봉 1억 1,000만 엔으로 계약했다.[58]
1995년 4월에는 월간 MVP를 수상했지만, 7월 연습 중 부상으로[59] 올스타전에 결장했고,[60] 2개월간 전력에서 제외되었다.[61] 시즌 성적은 10승에 그쳤고, 규정 투구 이닝에는 도달하지 못했다.[62] 시즌 후 연봉은 9,800만 엔으로 감소했다.[61] 1996년에는 부상으로 인해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승리 투수가 되지 못했다.
1997년 5월 24일 닛폰햄전에서 2년 만에 승리 투수가 되었고, 일본 시리즈에서 선발 등판했다. 시즌 후 니시자키 유키히로와의 맞트레이드로 나라하라 히로시와 함께 닛폰햄으로 이적했다.
닛폰햄 이적 후 1998년에는 2승 5패, 평균 자책점 6.22를 기록했고, 1999년 시즌 후 방출 통보를 받았다. 이후 여러 팀의 입단 테스트를 받았으나 불합격했다.
타이완 대연맹 타이베이 타이양에 선수 겸임 코치로 입단하여[64] 2000년 16승 5패, 평균 자책점 1.74로 최다승, 최우수 평균 자책점, MVP를 석권했다.[65] 2001년에도 9승을 올렸지만, 그 해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 올스타전 출장: 3회(1990년, 1992년, 1995년)
5. 2. 타격
이시이 다케히로는 빠른 공을 주무기로 하는 투수였다. 프로 1년 차인 1989년 스프링 캠프에서 구로다 마사히로 배터리 코치는 이시이를 두고 "작년 신인왕인 모리야마 료지와 맞먹는 활약이 가능하겠다"라고 평가했고, 모리 마사아키 감독도 개막 로테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51] 야기사와 소로쿠 투수 코치는 이시이가 아마추어 시절에 두 번째 투수였기 때문에 어깨를 혹사당하지 않았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45]시범 경기에서 이시이는 150km/h에 가까운 빠른 공을 앞세워 13⅓이닝 동안 1실점만 기록하며 좋은 투구를 보여주었고, 개막 후 1군에 합류했다.[52] 4월 29일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전에서 첫 세이브를 올렸지만, 5월 4일 오릭스 브레이브스와의 선발 경기에서는 10피안타 4실점으로 부진했다. 시즌 후반에는 구원 투수를 맡았고, 최종 성적은 평균 자책점 4.33을 기록했다. 이시이는 대담함을 잃고 변화구 제구가 좋지 않아 투구가 단조로워졌다는 평가를 받았다.[51] 또한 프린스 호텔 선배인 나카지마 데루시에게 몸에 맞는 공을 던져 골절시킨 것이 마음에 걸려 몸쪽 공격에 어려움을 겪었다.[53]
1990년에는 스프링 캠프에서 고야마 마사아키 코치에게 팜볼을 배워 느린 구종을 익히면서 투구의 폭이 넓어졌다. 5월 17일 롯데 오리온스전에서 오미야 다쓰오의 리드에 힘입어 첫 완봉승을 거두었고, 5월 25일에도 완투승을 거두며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7월까지 6승을 올리며 올스타전에도 처음으로 출전했다.
1992년 6월 28일 오릭스전에서는 안타 하나만 허용하는 '준퍼펙트 게임' 수준의 뛰어난 투구를 선보였다.[54] 시즌 초반에는 가토리 요시타카, 시오자키와 함께 견제 역할도 수행하며 15승 3패 3세이브, 평균 자책점 1.94의 뛰어난 성적으로 팀 우승을 이끌었다. 사와무라 에이지상, MVP 등 많은 타이틀을 획득했고, WHIP은 0.88을 기록했다. 9월에는 4승 무패로 월간 MVP도 처음으로 수상했다. 이러한 활약의 배경에는 이토 쓰토무의 권유로 시작한 멘탈 트레이닝과 놀런 라이언의 《피칭 바이블》을 읽고 정신적으로 성장한 것이 있었다.[53][54]
6. 수상 및 타이틀 경력
1992년 이시이 다케히로는 15승 3패 3세이브, 평균 자책점 1.94의 뛰어난 성적으로 팀의 우승에 기여하여 사와무라 에이지상, MVP 등 여러 타이틀을 석권했다. 1994년 9월과 1995년 4월에도 월간 MVP를 수상했다. 1992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2승을 거두며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공헌하여 MVP로 선정되었다.
2000년에는 타이완 대연맹의 타이베이 타이양에서 뛰며 16승 5패, 평균 자책점 1.74의 성적으로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고, 최다승, 최우수 방어율, MVP 타이틀을 모두 차지했다.
6. 1. NPB
1992년 이시이 다케히로는 15승 3패 3세이브, 평균 자책점 1.94를 기록하며 팀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이 활약으로 사와무라 에이지상, MVP 등 많은 타이틀을 차지했다.[54] WHIP은 0.88이었고, 9월에는 4승 무패로 월간 MVP를 수상했다. 이시이가 이 해에 뛰어난 성적을 거둔 것은 시즌 종료 후 이토 쓰토무의 권유로 시작한 멘탈 트레이닝[53]과 놀런 라이언의 《피칭 바이블》을 읽고 정신적으로 성장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54]; NPB(일본 프로 야구)
- 최고 승률: 1회 (1992년)
- 사와무라 에이지상: 1회 (1992년) ※148.1이닝 투구에서의 수상은 역대 최소
- 최우수 선수: 1회 (1992년)
- 베스트 나인: 1회 (투수 부문: 1992년)
- 쇼리키 마쓰타로상: 1회 (1992년) ※사와무라 에이지상과의 동시 수상은 역대 유일, 선발 투수 수상은 구도 기미야스 (1987년) 외에 이시이가 유일
- 월간 MVP: 3회 (투수 부문: 1992년 9월, 1994년 9월, 1995년 4월)
- 최우수 배터리상: 1회 (1992년, 포수: 이토 쓰토무)
- 일본 시리즈 MVP: 1회 (1992년)
6. 2. TML
타이베이 성바오 타이양·타이베이 청타이 타이양(2000년 ~ 2001년)항목 | 내용 |
---|---|
최다 승리 | 1회 (2000년) |
최우수 방어율 | 1회 (2000년) |
최우수 선수 | 1회 (2000년) |
7. 개인 기록 (NPB)
- 첫 등판: 1989년 4월 13일,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전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9회초에 구원 등판, 1이닝 2실점
- 첫 세이브: 1989년 4월 29일, 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전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8회초에 구원 등판·완료, 2이닝 무실점
- 첫 승리: 1989년 7월 13일, 대 긴테쓰 버팔로스 전 (후지이데라 구장), 5회말 1사에 구원 등판, 4⅔이닝 무실점
- 첫 완투 승리·첫 완봉 승리: 1990년 5월 17일, 대 롯데 오리온즈 전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1피안타 6탈삼진 1사사구
- 올스타전 출장: 2회 (1990년, 1992년) ※1995년에도 선출되었지만 출장 거부[40]
8. 연도별 투수 성적 (NPB)
연도 | 소속 팀 | 登板|등판일본어 | 先発|선발일본어 | 完投|완투일본어 | 完封|완봉일본어 | 無四球|무사구일본어 | 勝利|승리일본어 | 敗戦|패전일본어 | セーブ|세이브일본어 | 勝率|승률일본어 | 打者|타자일본어 | 投球回|투구 이닝일본어 | 被安打|피안타일본어 | 被本塁打|피홈런일본어 | 与四球|사사구일본어 | 敬遠|고의사구일본어 | 与死球|사구일본어 | 奪三振|탈삼진일본어 | 暴投|폭투일본어 | ボーク|보크일본어 | 失点|실점일본어 | 自責点|자책점일본어 | 防御率|평균자책점일본어 | WHIP |
---|---|---|---|---|---|---|---|---|---|---|---|---|---|---|---|---|---|---|---|---|---|---|---|---|
1989년 | 세이부 | 26 | 9 | 0 | 0 | 0 | 2 | 4 | 1 | .333 | 365 | 81.0 | 81 | 11 | 41 | - | 4 | 59 | 2 | 0 | 44 | 39 | 4.33 | 1.51 |
1990년 | 25 | 18 | 3 | 1 | 0 | 8 | 5 | 0 | .615 | 571 | 137.2 | 111 | 17 | 49 | - | 9 | 119 | 1 | 0 | 54 | 51 | 3.33 | 1.16 | |
1991년 | 26 | 19 | 4 | 0 | 1 | 7 | 6 | 1 | .538 | 581 | 136.1 | 127 | 18 | 48 | - | 7 | 118 | 5 | 0 | 68 | 63 | 4.16 | 1.28 | |
1992년 | 30 | 20 | 8 | 2 | 2 | 15 | 3 | 3 | .833 | 721 | 186.0 | 139 | 8 | 28 | - | 10 | 169 | 2 | 0 | 44 | 40 | 1.94 | 0.88 | |
1993년 | 27 | 26 | 5 | 4 | 1 | 12 | 6 | 0 | .667 | 789 | 191.2 | 172 | 15 | 28 | 0 | 10 | 169 | 6 | 0 | 62 | 57 | 2.68 | 1.04 | |
1994년 | 33 | 10 | 0 | 0 | 0 | 6 | 2 | 8 | .750 | 378 | 91.1 | 75 | 6 | 30 | 4 | 4 | 88 | 0 | 0 | 36 | 30 | 2.96 | 1.15 | |
1995년 | 16 | 16 | 4 | 1 | 0 | 10 | 3 | 0 | .769 | 446 | 109.1 | 91 | 13 | 32 | 0 | 8 | 97 | 3 | 0 | 44 | 41 | 3.37 | 1.12 | |
1996년 | 5 | 5 | 0 | 0 | 0 | 0 | 3 | 0 | .000 | 90 | 17.1 | 22 | 5 | 15 | 0 | 2 | 16 | 2 | 0 | 17 | 17 | 8.83 | 2.14 | |
1997년 | 14 | 13 | 0 | 0 | 0 | 1 | 5 | 0 | .167 | 257 | 57.1 | 67 | 10 | 23 | 0 | 4 | 42 | 2 | 0 | 41 | 37 | 5.81 | 1.57 | |
1998년 | 닛폰햄 | 19 | 10 | 0 | 0 | 0 | 2 | 5 | 0 | .286 | 278 | 60.2 | 75 | 12 | 29 | 0 | 2 | 37 | 1 | 0 | 47 | 42 | 6.23 | 1.71 |
1999년 | 3 | 3 | 0 | 0 | 0 | 0 | 1 | 0 | .000 | 54 | 11.1 | 14 | 3 | 8 | 0 | 1 | 9 | 0 | 0 | 10 | 10 | 7.94 | 1.94 | |
통산: 11년 | 224 | 149 | 24 | 8 | 4 | 63 | 43 | 13 | .594 | 4530 | 1081.0 | 974 | 118 | 331 | - | 61 | 923 | 24 | 0 | 467 | 427 | 3.55 | 1.21 |
참조
[1]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92-11-26
[2]
뉴스
朝日新聞
1998-07-04
[3]
서적
選抜高等学校野球大会60年史
毎日新聞社
1989
[4]
서적
全国高等学校野球選手権大会70年史
朝日新聞社
1989
[5]
간행물
別冊宝島
[6]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89-03-06
[7]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89-08-28
[8]
간행물
別冊宝島
[9]
간행물
別冊宝島
[10]
간행물
別冊宝島
[11]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89-01-16
[12]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89-06-16
[13]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89-04-24
[14]
간행물
Sports Graphic Number
1992-11-20
[15]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92-11-26
[16]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92-11-26
[17]
뉴스
朝日新聞
1993-12-24
[18]
뉴스
読売新聞
1994-10-03
[19]
웹사이트
パ・リーグ BLUE BOOK 月間MVP賞
http://www.pacific.n[...]
[20]
뉴스
毎日新聞
1995-07-16
[21]
뉴스
読売新聞
1995-07-19
[22]
뉴스
毎日新聞
1995-12-17
[23]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96-02-12
[24]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98-02-09
[25]
뉴스
日ハム石井らに戦力外通告
読売新聞
1999-10-08
[26]
웹사이트
asahi.com�X�{{!}}�[�c�V��
http://www.asahi.com[...]
2024-12-19
[27]
웹사이트
一緒に飲み、一緒に泣く 『プロ野球戦力外通告』プロデューサーが明かす密着取材の舞台裏
https://www.oricon.c[...]
2018-07-11
[28]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2001-01-15
[29]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2001-01-15
[30]
뉴스
毎日新聞
2002-05-14
[31]
웹사이트
埼玉西武ライオンズコーチ来季契約について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1-11-07
[32]
웹사이트
ライオンズアカデミーコーチ紹介
http://www.seibulion[...]
[33]
웹사이트
2014年度 コーチングスタッフ発表!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公式サイト
2013-10-22
[34]
웹사이트
埼玉西武ライオンズコーチ来季契約について
http://www.seibulion[...]
球団公式サイト
2014-10-05
[35]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89-04-24
[36]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93-09-20
[37]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2004-06-07
[38]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1992-11-26
[39]
웹사이트
歴代授賞者
http://www.jpsa.jp/a[...]
公益財団法人[[日本プロスポーツ協会]]
2017-11-25
[40]
서적
ベースボール・レコード・ブック
1995-12-01
[41]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92-11-26
[42]
뉴스
아사히 신문
아사히 신문
1998-07-04
[43]
뉴스
아사히 신문
아사히 신문
2014-05-03
[44]
간행물
별책 다카라지마
[45]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89-03-06
[46]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89-08-28
[47]
간행물
별책 다카라지마
[48]
간행물
별책 다카라지마
[49]
간행물
별책 다카라지마
[50]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89-01-16
[51]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89-06-16
[52]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89-04-24
[53]
간행물
Number
1992-11-20
[54]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92-11-26
[55]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92-11-26
[56]
뉴스
요미우리 신문
요미우리 신문
1994-10-03
[57]
웹인용
퍼시픽 리그 BLUE BOOK 월간 MVP상
https://web.archive.[...]
2011-04-24
[58]
뉴스
아사히 신문
아사히 신문
1993-12-24
[59]
뉴스
마이니치 신문
마이니치 신문
1995-07-16
[60]
뉴스
요미우리 신문
요미우리 신문
1995-07-19
[61]
뉴스
마이니치 신문
마이니치 신문
1995-12-17
[62]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96-02-12
[63]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98-02-09
[64]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2001-01-15
[65]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2001-01-15
[66]
뉴스
마이니치 신문
마이니치 신문
2002-05-14
[67]
뉴스
한화 이영우 1억8천만원 재계약
http://isplus.live.j[...]
일간스포츠
2020-07-24
[68]
뉴스
이번엔 「우완」장명부에...조취서고3년 교포 스카우트전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3-08-30
[69]
뉴스
"[프로야구 30년, 롯데 30년 부산의 거인, 그들을 만난다] <9> 156㎞ 강속구 투수 박동희"
https://sports.news.[...]
부산일보
2023-08-30
[70]
뉴스
"[박태훈의 스포츠+] 유니폼 34번 장명부, 60경기에 나서 30승 따낸 고무팔"
https://sports.news.[...]
세계일보
2023-08-30
[71]
웹사이트
라이온스 아카데미 코치 소개
http://www.seibulion[...]
[72]
뉴스
2014년도 코칭 스태프 발표!
http://www.seibulion[...]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공식 홈페이지
2013-10-22
[73]
뉴스
롯데,日투수코치 영입
https://www.kookje.c[...]
국제신문
2024-09-17
[74]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89-04-24
[75]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93-09-20
[76]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2004-06-07
[77]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1992-11-26
[78]
문서
포수인 이토 쓰토무와 함께 수상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